완전경쟁시장의 생산과 가격
- 완전경쟁기업의 한계수입과 평균수입
- MR(한계수입)=AR(평균수입)=P(가격)
- 이윤극대화 조건
- MR=MC (필요조건)
- 한계비용이 증가하는 조건 (충분조건)
- 생산중단점(조업중단점)
- 평균가변비용의 최소점
- 완전경쟁기업의 수입함수
- 한계수입은 평균수입과 일치
- 총수입곡선에 대한 접선의 기울기는 평균수입
- 총수입곡선의 기울기는 상품가격에 의해 결정
- TR이 원점을 지나가는 직선이므로 완전경쟁기업
- 모든 산출량 수준에서 MR=AC이고, 일정함을 의미
- TC에 대한 접선 T1~T2가 TR과 평행하므로 한계비용은 생산물 비용과 동일함
- 접선 T1~T2에 대한 기울기는 한계비용
- 이윤극대화 산출량은 Q2
- 이윤극대화 조건은 MC=MR
- 조업정지점(QS)
- Q1 < QS < Q2
- Q1 : 한계비용곡선의 기울기 0
- C에서 TC에 대한 접선의 기울기는 원점에서 C까지의 선분보다 기울기가 큼
- 그러므로 Q2에서 MC > AVC이고, MC > ATC
- 비용불변 산업의 제품에 단위당 t원의 조세가 부과된 경우
- 장기시장 균형가격은 정확히 t원만큼 상승
- 장기시장 균형상태에서 기업수는 감소하나 개별기업의 산출량은 변하지 않음
- MC, AC모두 t만큼 상승하지만, AC의 최소가 되는 산출량은 변하지 않음
- 비용불변 산업에 영업면허세 도입
- MC는 변하지 않지만, AC는 위로 이동
- 면허세이므로 상품생산을 위한 한계비용이 달라지지는 않음
- 고정비용이므로 AC증가
- 장기균형의 시장가격은 상승하고, 산업산출량은 감소
- AC증가로 장기산업공급곡선이 위로 이동
- 시장균형가격 상승으로 수요가 줄어 산출량 감소
- 장기시장균형이 변함에 따라 기업수는 감소하고, 개별기업산출량은 증가
- MC는 고정인 상태에서 AC가 위로 이동했기 때문에 최소평균비용 산출량 수준 증가
-
- 단기생산에서는 가변비용만이 경제비용이므로 수입-가변비용이 개별기업의 생산자잉여이다.
- 한 회사에서 어떤 경영자가 특출한 경영 능력을 갖고 있어 같은 일을 하는 다른 경영자들이 받는 것보다 많은 봉급을 받는다면, 그 차액은 경제지대로 볼 수 있다.
- 유보가치=이전가득
- 생산요소가 어떤 특정한 용도에 투입되도록 유도하기 위해 지불해야하는 최소한의 금액
- 순수경제지대
- 공급이 완전히 고정되어 있는 생산요소가 얻는 요소 소득
생산자 잉여, 소비자 잉여
생산량 조절
산업전체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것이지 공급곡선이 이동하는 것은 아님에 유의..
이로써 산출량을 경쟁균형 양보다 작은 값으로 감소시킴으로써 기업들의 수입이 증가되는데 생산자잉여가 증가되는 폭보다 소비자 잉여가 감소되는 폭이 커서 사회전체적으로는 손실이 발생함을 알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