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_혹은_교양

비용함수

소리없는기쁨 2011. 4. 2. 15:05

시장기
  • 기업이 산출량의 변경을 위해 가변투입물조차도 조정할 수 없을 정도로 짧은 기간

단기
  • 투입량을 조정할 수 없는 고정 투입물이 존재하는 짧은 기간
  • 자본 투입량이 특정 수준으로 고정
장기
  • 모든 투입물이 가변 투입물인 기간
  • 고정 비용이 존재하지 않음

등사선과 확장경로



  • 등사선 : 기술한계대체율이 서로 같은 투입물조합들의 궤적
  • 확장경로(EP) : 요소가격들이 일정할 때 비용을 극소화하려는 기업이 그 선을 따라 산출량을 확대해가는 특수한 등사선
  • 총비용곡선 : 확장경로에 담겨있는 산출량 Q와 극소화된 비용 C의 상응관계 정보를 산출량-비용 곡선 공간에 그린것

단기 비용 함수들

 





 



  • 장기비용함수는 비용극소화 모형에서 산출량에 관한 비교정태분석을 수행하여 이끌어낼 수 있다.
  • 장기총비용곡선이 변곡점을 경계로 처음에는 오목하다가 나중에는 볼록하면 평균비용곡선과 한계비용곡선은 모두 U자 형태를 이룬다.

규모에 대한 수익과 장기비용

 


 


  • 단기총비용과 장기총비용이 서로 같은 산출량 수준 : Q1
    • LEP와 SEP가 만나는 지점에서 장기총비용곡선과 단기총비용곡선이 만나게됨
  • 단계한계비용 < 단기평균비용 : Q0
    • Q1에서 단기평균비용의 최소점이기 때문에 한계비용이 더 적으려면 산출량이 Q1보다 작아야 함
  • B점에서는 MP(L) < AP(L)
    • Q1에서는 단기한계비용 < 단기평균가변비용이므로 MP(L) < AP(L)
  • 단기한계비용 < 장기한계비용 : Q0
    • Q1에서 단기/장기 한계비용이 동일
  • 기술한계대체율이 투입물가격비용(w/r)과 같은 지점 : B
    • 장기확장경로(LEP) 상의 점들은 기술한계대체율이 투입물가격 비율(w/r)과 동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