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_혹은_교양

생산함수 이론

소리없는기쁨 2011. 3. 27. 16:55

등량곡선

주어진 생산함수에 의해 특정한 수준의 산출량을 생산해 낼 수 있는 모든 투입물 조합을 보여주는 투입물공간상의 곡선을 등량곡선(isoquant)이라고 한다.






등량곡선에 대한 접선이 갖는 기울기의 절대값을 기술한계대체율이라 하는데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퀴즈!~



등량곡선의 성질

  • 투입물 공간의 그 어떤 점에 대해서도 그 점을 통과하는 등량곡선은 반드시 존재한다.
  • 서로 교차하는 등량곡선들은 존재하지 않는다.
  • 등량곡선에 부여되는 산출량 지수들은 확정된다.


총생산물 곡선

총생산물 곡선(Total Product curve)은 노동(L)만이 가변생산물인 단기생산함수의 총생산물의 변화 양상을 보여준다. 총생산물 곡선에 대한 접선의 기울기는 노동의 한계생산물을 의미한다. 평균생산물은 투입물 조합으로부터 생산되는 총산출량을 각 생산요소의 투입량으로 나누어준 값(Q/L 혹은 Q/K)으로 정의된다.



생산의 단계



  • 1단계
    • 가변투입물의 평균 생산물이 증가하는 영역
    • 생산물을 모두 팔아도 가변투입물에 들어가는 비용을 회수할 수 없는 영역
  • 2단계
    • 가변투입물의 평균생산물은 감소하지만 한계생산물은 여전히 양인 영역
    • 이윤 극대화 영역의 조업영역 (단기생산의 실제 생산영역)
  • 3단계
    • 한계생산물이 음이되는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