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_혹은_교양 47

금융기관

예금중개기관 은행 상시적으로 민간으로부터 예금을 받아 대출업무를 행하는 금융기관 금융중개기능, 통화창출, 저축창구, 지급수단 제공 특수은행 한국산업은행 : 한국전쟁 이후 산업 부흥을 위한 장기산업금융 취급 목적 한국수출입은행 : 중화학 공업제품의 연불수출금융과 해외투자 및 해외자원개발에 대한 자금지원 목적 중소기업은행 : 중소기업에 대한 효율적인 자금지원을 위해 설립 농업협동조합 중앙회 신용사업부문, 수산업협동조합 중앙회 신용사업부문 비은행 종합금융회사 민간부문의 외자조달을 원할히하고 종합적인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기위해 설립된 금융기관 상호저축은행 사금융양성화 3법(단기금융업법, 상호신용금고법, 신용협동조합법)의 하나로 상호신용금고법이 제정되면서 설립되기 시작 소규모 영세상인과 서민들에게 금융편의를 제공하..

배급기능(rationing function), 배분기능(allocative function)

배급기능 : 소비자들의 어떤 재화에 대한 수요량이 (생산자에 의해) 주어지는 수량보다 많으면 가격이 올라 구매의욕을 억제시키고, 반대의 경우에는 가격이 내려 구매 욕구를 부추기는데 이러한 가격기능을 배급기능이라고 한다. 배분기능 : 상품의 가격이 오르면 생산자에게 돌아가는 이윤이 늘고, 가격이 내리면 이윤이 감소하는데 이러한 가격 기능을 배분기능이라고한다. 퀴즈~ 1. 자원의 특정한 용처에 대한 사람들의 욕구가 얼마나 강한지 알려주는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자원을 유용한 용처로 이동시키는 시장 가격의 기능은? (배분기능) 2. 공급량이 한정된 재화를 그것에 두는 가치의 크기에 따라 사람들에게 배급하는 시장가격의 기능은? (배급기능) --- 암만봐도 말장난 같다. 이런 말장난 같은 부분은 알고보면 우리나라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