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의 매매가 정기적으로 또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총괄적 거래 매커니즘으로 통상 은행간 거래시장을 의미
기능
- 환율 변동을 통해 외환의 수요와 공급 조절
- 헷징, 투기, 재정거래의 기회 제공
- 국제 금융시장에서 금융거래를 가능하게 함
특징
- 매입가격과 매도가격이 서로 다른 2가격 시장
- 장외시장
- 특정 장소에 모여서 거래하는 것이 아니라 통신수단에 의해 거래되는 점두시장(over the counter market)
- 계약금액, 결제기한등 거래조건이 표준화되어 있지 않고, 협상으로 결정됨
- 24시간 시장 (각 국의 시차가 다르기 때문)
- 범 세계적 시장
거래종류
- 현물환 거래(spot transactions)
- 계약 이후 2영업일 이내에 외환의 인도가 이루어짐
- 선물환 거래 (forward transactions)
- 계약일로부터 3영업일 이후의 특정일에 계약 당시 결정된 환율(선물환율)로 외환의 인도가 이루어짐
- 순수하게 국내외 이자율 간의 격차를 기초로 이루어짐
- 종류
- 선물환 일방거래
- 단순하게 선물환을 매입하거나 매도하는것
- 외환 스왑
- 결제일이 서로 다른 매입거래와 매도거래를 묶어서 함께 체결하는 외환거래
- 예를들면 100만달러 현물환 매입 동시에 100만달러 1개월 선물환 매각
- 투자자나 차입자들이 헤징의 수단으로 활발히 이용
시장참가자
- 고객
- 무역거래와 투자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외환이 필요하기 때문
- 상업은행
- 특정가격으로 외환의 매매를 원하는 금융기관과 기업들에게 매입율과 매도율을 제시
- 매입율과 매도율의 차이로 이익추구
- 중개자
- 전 세계적으로 은행들과 통신망을 갖춘 전문회사로 은행들 사이의 중개 역할 담당
- 자기 자금을 가지고 거래하지 않고, 중개역활에 따른 수수료를 받음
- 중앙은행
한국의 외환시장 구분
- 대 고객 시장
- 외국환 은행이 기업, 개인 등 일반고객과 외환을 매매하는 시장
- 고객 : 외국환 은행에서 원하를 매각하고, 외환을 얻음
- 거래 형태
- 현물환 거래(대부분), 선물환 거래
- 은행
- 고객과의 외환거래에서 일반적으로 매입과 매도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환위험에 노출
- 그러므로 환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은행간 외환시장에 참여
- 은행간 시장
- 외국환 은행 간 거래가 이루어지는 시장
- 대고객 외환시장에서 발생한 외국환 포지션 조정을 통해 환위험을 회피
- 장래 환율에 대한 전망을 토대로 매매차익을 실현하고자 함
- 거래형태
- 브로커 경유 거래
- 대부분의 거래 형태
- 효율적인 거래를 위해 거래단위, 시간 등을 제한
- 직접거래
- 주로 브로커 경유거래 시간 이후 외국환 포지션한도를 조정할 필요가 있거나 원화준비금이 부족할때
- 거래 당사자의 합의에 따라 거래조건이 성립
한국 외환시장의 문제점
- 하부구조 취약
- 정부로부터 외환거래에 참가할 수 있도록 허가받은 은행이 시장에 참가
- 시장 참가자 수가 극히 제한적
- 실수요 위주의 거래
- 적은 규모의 실수요 외환 수요/공급 변동에 환율이 크게 변동할 가능성
- 런던, 뉴욕, 도쿄등 선진국 외환시장의 실수요 거래 비중운 5% ~ 10%, 우리나라는 40% 정도
- 브로커 중심의 거래
- 외환시장 참가자들의 거래 규모가 작아 거래비용 절감을 위해 브로커 이용
'경제_혹은_교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생금융상품시장 (0) | 2011.03.13 |
---|---|
식물의 진화와 분류 (0) | 2011.03.11 |
증권시장 (0) | 2011.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