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은 만기까지의 이자와 원금의 상환액이 계약에 의해 보장된 확정이자부증권으로서 다른 금융상품에 비해 비교적 안전성이 높기는 하나 위험이 전혀없는 것은 아니다. 발행주체의 영업실적이 악화되어 원리금 지급불능의 상황이 발생될 수 있으며 임의상환과 같은 계약 조건에 따라 투자수익의 위험 또는 불확실성이 커질 수 있다. 이와같은 위험 때문에 채권수익률의 체계적 차이가 발생될 수 있다.
▶ [요약] 채권은 확정이자부증권. 신용위험(부도 가능성) 및 중도 매도에 따른 위험은 있음
채권의 가격결정
- 해당 채권을 소유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미래 현금흐름을 적절한 할인율로 할인하여 현재가치로 환산한 값
- 순수할인채 : 만기까지 발생할 이자의 현재가치에 해당하는 금액만큼 할인하여 발행됨
- 채권에는 100원이라고 쓰여져 있지만 만기까지의 이자를 생각해서 80원에 발행되고 만기가 도래함에 따라(만기가 되면 액면금액만큼 돈을 주니까...) 채권가격이 상승
- 채권가격은 시장이자율, 채권액면가, 액면이자율, 만기에 의해 결정됨
듀레이션(duration)
- 만기와 액면 이자율을 동시에 고려한 상환기간으로 이자율과 채권가격 사이의 변동에 대한 척도
- 채권의 가중평균만기 (weighted average maturity) 활용하여 계산됨
- 만기까지 발생하는 각 기간별 현금흐름이 전체 채권 가격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가중치로 하여 계산
- 만기이전에 이자가 지급되는 채권(이표채)의 경우 채권가격의 이자율 변화에 대한 민감도의 척도로서 만기 이전에 발생되는 현금흐름을 고려하여 측정한 평균만기, 즉 듀레이션
- 주요 특성
- 만기가 길수록 듀레이션 증가
- 액면이자율이 낮을수록 듀레이션 증가
- 시장이자율이 낮을수록 듀레이션 증가
수익률 스프레드(yield spread)
- 수익률 스프레드 = 약속수익률 - 무위험수익률
- 약속수익률(promised yield) : 채무불이행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가정하여 계산된 위험채권의 만기수익률
- 무위험수익률(default-free yield) : 국공채 등 무위험채권의 만기수익률
수익률 곡선타기 (riding yield curve)
- 대표적인 투자기간분석 전략
- 투자기간 분석전략 : 수익률곡선 등에 의해 투자기간 말의 미래이자율을 예측하여 높은 수익률을 올리려는 전략
- 수익률곡선이 우상향하는 경우, 채권의 잔존만기가 짧아지면서 수익률곡선을 타고 아래로 이동하여 수익률이 하락하게 되는데 이로 인한 가격상승효과를 얻으려는 전략
- 위와 같이 수익률곡선이 우상향하는 채권을 투자자가 3년 만기 채권을 수익률 7%로 구입했다. 1년후, 투자자의 채권은 이제 만기가 2년 남았고, 수익률은 6%가 된다. ∴ 채권투자는 이자소득 + 자본이득 얻기 가능
- 1년간의 이자소득(액면이자) 뿐만 아니라 잔존만기가 짧아지면서 발생하는 수익률 하락으로 인한 자본이득(채권가격 상승으로 인한 채권매매차익)도 얻을 수 있음
- 그러나 수익률곡선이 예측과는 달리 우상향하지 않을수도 있다는 위험...
목표시기 면역전략(target date immunization strategy)
- 채권포트폴리오의 목표투자기간과 듀레이션을 일치시킴으로서 이자율 변동에 따른 채권투자수익변동(이자율 위험)을 없애는 전략
- 시간의 경과에 따라 잔여 투자기간과 듀레이션이 일치하도록 채권포트폴리오를 계속 재구성하는 작업 필요
- 전략에 의해 이자율변동에 따른 채권가격변동 (가격위험)과 액면이자의 재투자수익변동 (재투자위험)이 서로 상쇄되어 순효과 (채권투자수익변동)는 0
'경제_혹은_교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월전략과 내쉬균형 (0) | 2011.12.06 |
---|---|
주식의 기술적분석 (0) | 2011.11.17 |
제품수명주기분석 (0) | 2011.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