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_혹은_교양

주식의 기술적분석

소리없는기쁨 2011. 11. 17. 22:53

기술적분석은 과거의 주가나 거래량 같은 자료들을 정형화하고 이를 분석하여 주가 변화추세를 찾아내고 미래주가를 예측하는 방법이다. 흔히 챠트분석(chart analysis)이라고도 하며, 주식의 매매시점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챠트 모양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 가정
    • 주가의 움직임에는 모든 정보가 반영됨
    • 주가는 추세를 가지고 움직임 (임의보행설도 있음)
    • 추세 및 주가 형태는 반복됨
  • 장점
    • 기본적분석에 비해 용이하고 간단하여 한눈에 알아볼 수 있음
    • 주가에는 계량화하기 어려운 심리적 요인도 영향을 미치는데 이를 보완함
  • 단점
    • 과거의 자료로 미래를 예측하는 것이므로 항상 오류가능성을 내포
    • 동일한 대상에 대해 서로 다른 분석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혼란 초래

기본적분석


기술적 분석의 특징
- 기본적 분석에 비해 논리적인 면에서 빈약한 측면이 있지만
- 주가의 동향을 미리 감지하여 매매시점을 포착하는데 유용

기술적 분석과 기본적 분석의 유사점
- 비효율적인 시장을 전제로 증권을 개별적으로 분석
- 효율적 시장에서는 주가에 모든것이 반영되어 있으므로 예측이 필요없음

기술적 분석과 기본적 분석의 차이점
- 기술적 분석은 주가가 이론적 요인 뿐만 아니라 심리적 요인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는 가정하에 기초함


챠트분석에 사용되는 용어들

불임점(abortive point)
다우이론(Dow theory)은 주가의 단기변동보다는 중기변동을 중심으로 미래 주가의 장기추세를 예측하여 주식시장의 변화 방향을 예측하는데 이때 불임점을 활용한다.


추세 예측에 사용되는 원칙
- 새로운 중기변동의 최고점이 바로 직전의 최고점 이상으로 상승하지 못하면 장기추세는 하락 국민
- 새로운 중기변동의 최저점이 바로 직전의 최저점 이하로 떨어지지 않으면, 장기추세는 상승국면


다음 추세선에서 B점은 이전의 A점 이상으로 올라가지 못했기 때문에 장기추세는 하락 국면으로 접어드는 것으로 판단하고, 이때 B를 불임점이라고 한다.




골든크로스(golden cross) & 데드크로스(dead cross) (교차분석)


- 골든크로스 :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상향돌파할 때 --> 매수신호
- 데드크로스 :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하향돌파할 때 --> 매도신호



정배열 & 역배열 (배열도분석)

- 정배열 : 단기이동평균선 > 중기이동평균선 > 장기이동평균선 순서의 배열 --> 상승추세 --> 매수신호
- 역배열 : 단기이동평균선 < 중기이동평균선 < 장기이동평균선 순서의 배열 --> 하락추세 --> 매도신호


이격도(disparity)


- 당일의 주가수준과 이동평균선 간의 간격을 의미
- 이격도가 100% 이상이면, 당일의 주가가 이동평균선보다 위에 있는 상태
- 이격도가 100% 이하이면 주가가 이동평균선 아래에 있는 상태
- 추세선으로 부터 얼마나 떨어져있는지를 확인하는 것
- 이격도가 일정범위를 초과할 경우 단기적인 매수 또는 매도시점으로 삼을 수 있음


상대강도지수(relative strength index, RSI)

- 가격변동 중 상승의 강도를 나타내는 것 (위의 챠트는 상대강도과열 종목으로 선정된 회사의 챠트임)
- 일정한 기간을 기준으로 그 기간의 가격변동액 중 상승액이 어느 정도 비중을 차지하고 있느냐를 나태는 지표

  - AU : 일정기간 동안 주가상승액의 평균
  - AD : 일정기간 동안 주가하락액의 평균
- AU > AD 일수록, 상대강도지수는 50을 기준으로 100에 가까워지고
- AU < AD 일수록, 상대강도지수는 0에 가까워짐
- 상대강도지수 50을 중심으로 상승강도와 하락강도를 파악하여 시장의 추세를 판단
- 일반적으로 70을 넘어서면 매도포지션, 30을 하회하면 매수포지션을 취함


투자심리도

- 일정기간을 대상으로 주식의 인기, 즉 과열 및 침체도를 파악하는 지표 (위의 챠트는 투자심리과열 종목으로 선정된 회사의 챠트임)
- 최근 일정기간 동안의 전일 대비 상승일 수를 일정기간 수로 나누어 백분율로 나타냄
   (투자심리도 = (N일간 전일대비 상승일 수 / N) X 100)
- 주가가 거래일을 기준으로 매일 오르면 투자심리도는 100%가 되고, 매일 내리면 0%가 됨
- 투자심리도가 75% 이상에서 그 이하로 내려갈 때 --> 매도시점
- 투자심리도가 25% 이하에서 그 이상으로 올라갈 때 --> 매수시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