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_혹은_교양

디파스퀠리ㆍ위튼 모형 (DiPasqualeㆍWheaton model)

소리없는기쁨 2011. 11. 6. 11:59

디파스퀠리ㆍ위튼(DiPasqualeㆍWheaton, 1996) 모형 (DW모형)

  • 부동산 자산시장과 이용시장을 연계하여 전체 부동산 시장의 작동을 설명하는 모형 
  • 임대료, 자산가격, 신규건설, 공간재고 → 4개의 내생변수 균형이 결정

DiPasqualeㆍWheaton 모형

 

 

1 사분면 : 건물공간서비스 임대시장 

  • 부동산의 공간에 대한 수요는 임대료와 지역 경제변수의 함수로 결정
  • 공간재고가 많을수록 임대료는 낮아짐

 

2사분면 : 자산시장의 균형 

  • 1 사분면에서 결정된 임대료로부터 자산가격이 결정되는 시장
  • 임대료와 자산가격의 연결고리는 자본환원율
    • P : 자산가격, i : 자본환원율, R : 임대료 
  • 일반적으로 자산가격이 높으면 임대료도 높은데 이는 직선상의 운동으로 이해되는 부분이고
  • 자본환원율을 기준으로 생각해보면 이는 직선의 기울기에 대한 문제임

 

3사분면 : 신규공급 

  • 자산가격 + 생산요소의 가격 + 정부규제 → 신규공급물량이 결정됨
  • 개발사업자들의 자신들의 이윤을 극대화할 수 있을 만큼을 공급함

 

4사분면 : 공간재고의 조정 

  • 신규공급물량과 기존 공급된 물량의 멸실량이 더해져서 공간재고가 조정됨




D-W 모형 예제와 요약정리 

  1. 부동산 공간재고(공급)가 주어지면 수요가 이에 일치하도록 임대료가 결정되고
  2. 임대료에 자본환원율을 적용하여 자산가격이 결정되고
  3. 자산가격과 공급자들의 생산함수에 따라 공급량이 결정되고
  4. 신규공급량과 기존 공간재고의 멸실율에 따라 공간재고가 조정된다.

 

📈💸🏠📉 돌고도는 자본 

 

 

 

더 보기 

 

프로젝트 파이낸싱 (project financing)

"건설 경기 침체가 계속되면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에 대한 우려가 갈수록 커지고 있...

blog.naver.com

 

채권 : 듀레이션, 수익률스프레드, 수익률곡선타기, 목표시기 면역전략

채권은 만기까지의 이자와 원금의 상환액이 계약에 의해 보장된 확정이자부증권으로서 다른 금융상품에 비해 비교적 안전성이 높기는 하나 위험이 전혀없는 것은 아니다. 발행주체의 영업실적

case35.tistory.com